설계검토를 위한 기본개념
NO | 설명 | 정의 | 비고 |
---|---|---|---|
1 | 입력측 R.P.M |
Coupling에 의한 직결일 때에는 1800 – 2000 r.p.m까지 사용해도 무방하다. 그러나 저속기동시 600rpm이하에는 효율의 저하로 감속기의 용량이 저하되므로 Torque를 고려하여 1단 높은 감속기를 선정 |
|
2 | 마력(HP) | 동력을 나타내는 단위이며, 즉 75kg의 물체를 1초동안 1m 끌어올린 일의 양 | ![]() |
3 | 회전력(Torque) |
물체의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힘을 Torque라 한다. 회전수(rpm) 회전반경(R)의 Drum에서 중량(kg)의 부하를 상하로 움직일때의 힘 |
|
4 | 출력측 R.P.M | 출력측 RPM은 입력측 RPM과 감속비가 정해지면 다음식으로 계산 | 출력측 RPM = 입력측 RPM X 감속비 |
5 | 효율 | 감속기의 효율은 입력측 동력에 대한 출력측 동력 | ![]() |
모터선정순서
NO | 검토순서 | 세부 검토. 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---|
1 | 타입의 결정 | 1. 중공축, 직교축, 평행축 | |
2 | 속도비 결정 | 1. 감속비의 결정 | |
3 | 토크 검토 |
1. 부하토크 산출 2. 등가토크 산출 (서비스팩터 Sf) 3. 검토토크의 타당성 확인 (성능표 ) |
|
4 | 관성 검토 |
1. 실부하의 관성 산출 2. 모터축 환산부하관성 산출 3. 등가관성 산출( 운전조건에 의한 보정 ) 4.등가관성 < 허용관성 |
|
5 | 최종 결정 | 1. 토크와 관성의 조건에 맞는 기종 선정 |
각종 설계 팩터
서비스팩터 (Sf)
소형 시리즈의 기어모터는 가벼운 충격 부하로 10시간/일 운전이라는 조건으로 설계하며, 그 이상의 조건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래 표의 서비스 팩터에 의해 부하 토크를 보정한다
검토순서 | 서비스팩터 (Sf) | 용도예 | ||
---|---|---|---|---|
균일부하 Uniform Load |
1 | 1 | 1 | 크레인,컨베이어(균일부하),스크린,혼합기(저점도),수처리기계(경부하),공작기계(이송축) 엘리베이터, 압출기, 증류기 |
가벼운 충격부하 Medium Impact) |
1 | 1 | 1.25 | 컨베이어(불균일,중부하),혼합기(고점도), 차량용기계,수처리기계(중부하), 호이스트(경부하), 제지기계, 공급기, 식품, 펌프, 정당기계, 섬유기계 |
심한 충격부하 (Heavy Impact) |
1 | 1.25 | 1.5 | 호이스트(중부하), 헤머 및 금속가공기계, 크러셔, 텀플러 |
허용관성모멘트 J (혀용 GD2 )
부하의 관성이 큰 것을 단속운전하면 기동시(또는 브레이크 장착 경우의 정지시)에 순간적으로 큰 토크가 발생하여 뜻하지 않은 사고를 일으킬수 있으므로, 상대기계의 관성크기는 연결방식, 기동 빈도에 따라 아래 표의 허용치 이내가 되도록 한다.
모터축(입력축) 환산관성모멘트 |
---|
![]() |
운전조건에 의한 허용관성모멘트 J (혀용 GD2 )의 보정계수
![]() |
형상과 조건에 따른 회전체의 관성모멘트 J(GD2)
회전중심이 중심(重心)과 일치하는 경우 | 회전중심이 중심(重心)과 일치하는 경우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S I 단위 | 중력단위 | S I 단위 | 중력단위 | |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직선운동을 하는 경우의 관성모멘트 J (GD2)
개략도 | S I 단위 | 중력 단위 | |
---|---|---|---|
일반적인 경우 | 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수평 직선운동의 경우 (리드나사에 의해 물체를 움직이는 경우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수평 직선운동의 경우 (컨베이어 등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|
수직 직선운동의 경우 (크레인・윈치 등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오버행 하중(O.H.L.)
오버행 하중(O.H.L.)란 출력축에 작용하는 굽힘하중을 말하며, 감속기축과 상대 기계의 연결에서 벨트・기어 등을 사용하면 반드시 이 O.H.L.이 필요하며, 카프링에 의한 직결의 경우에는 발생치 않는다.
![]() |
![]() |
상기 식으로 구한 O.H.L.이 성능표에 기재된 허용 O.H.L.보다 작아지도록 한다.
중공축의 경우, 계수K2는 1.00으로 계산
계수 K1
![]() |
계수 K2
![]() |